▲ 라도현 교도 / 과천교당
眞如妙體는 不生不滅이라 "진여묘체는 나지도 멸하지도 않는다"

'진여'는 진리, 법신불, 우리의 본래마음이며, 이것의 오묘한 몸은 나지도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사람이 기절하거나 깊은 잠에 빠지면 그 마음이 없어진 것 같아도, 깨어나면 다시 나타납니다. 이것은 잡을 수도 놓을 수도 없으며, 없앨 수도 없고 그렇다고 볼 수도 느낄 수도 없습니다. 때문에 이런 것은 '둘도 없다'고 해서 일찍이 '만법과 짝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視之不見하고 聽之不聞하며 空而不空하고 有而非有라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비었으되 빈 것이 아니고, 있으나 있는 것이 아니다"

'시지불견 청지불문 (視之不見 聽之不聞)'이라는 말은 노자 도덕경에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도 볼 수 없고, 들어도 들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도'라는 것은 어디에나 있지만, 또한 그 본체는 찾을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불교용어로 설명하자면, '어디에나 있다'는 것은 이른바 묘유를 말하는 것이고, '찾을 수가 없다'는 것은 진공을 뜻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구절을 '보아도 봄이 아니고, 들어도 들음이 아니다'라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풀이하게 되면, 이것은 도를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 수도인의 마음 쓰는 법을 표현하는 내용이 됩니다. 적적성성한 심경, 즉 마음이 텅 비고 두렷하여 자성의 정과 혜가 온전한 수도인은, 아무데도 '주한 바 없는' 마음을 쓰기 때문에, 보아도 본다는 상이 없고, 들어도 듣는다는 상이 없습니다. 그래서 보아도 봄이 없으며 들어도 들음이 없다는 것입니다. 온갖 망상분별을 다 쉬고, 성성적적한 본래의 성품으로 돌아가면 마음이 저절로 그런 상태가 됩니다.

목무소견무분별 이청무성절시비 분별시비도방하 단간심불자귀의 (目無所見無分別 耳聽無聲絶是非 分別是非都放下 但看心佛自歸依) "눈으로 보되 보는 바가 없으니 분별이 없고, 귀로 듣되 소리가 없으니 시비가 끊어졌네. 분별과 시비를 모두 놓아버리고, 다만 마음부처를 보아 스스로에게 귀의하네."

신라시대 부설거사의 게송입니다. 여기서 앞의 두 구절이 '보아도 봄이 없고, 들어도 들음이 없는' 심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선사들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이처럼 텅 비고 두렷한 본성을 쓸 수가 있습니다. 선이란 이와 같이 적적성성한 마음의 본래상태를 회복하자는 것입니다.

이어서 '비었으되 빈 것이 아니고, 있으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우리 본성의 진공묘유 특성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성품은 본체가 텅 비었으나 한없는 영지가 있으니 비어도 빈 것이 아니며, 이로써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니 분명히 뭔가 있지만, 이것의 실체를 찾으려하면 또한 찾을 수가 없으니, 있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수행인은 법신불 혹은 진리가 '있다'는 생각도 내지 말고, '공하다'는 생각도 갖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 '진리가 있다'는 생각을 내면 미신이나 신비한 생각에 미혹되기가 쉽고, '진리는 공하다'는 생각을 가지면 허무감에 빠져들기 쉽습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