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원경 기자

선배 교무로부터 전화 한통을 받았다. 지난 기획기사에 개인의 견해로서 의견을 전하는 내용이었다. 흔히 있는 일이지만, 기자가 글을 쓰는 경우 대부분 기사 내용에 대한 의견에 격려 또는 보충이 필요한 설명, 비판 등 다양한 조언을 받는다.

이번 기사에서도 기자의 주장에 대한 반대의 의견으로 또다른 문제점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제언을 들었다. 그 교무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근거도 좋지만 현실에 있어서의 문제에 대한 해결법으로 적정한가를 묻고, 또한 그 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설명해줬다. 상당히 설득력 있고, 고민이 필요한 내용임이 분명했다.

하지만 한 가지 짚고 싶은 것이 있다. 기자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가들이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기사를 쓸 때 여러 의견을 연구하고 그 사실을 바탕으로 주장하는 바를 보완해 설명해야 함이 마땅하다. 하지만 모든 사실과 이론을 완벽히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해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정론을 세운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또한 어떤 문제를 다룰 때 각 기자가 자신의 관점을 갖고 글을 쓰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때문에 기자가 내세우는 의견에 반론을 이야기하는 독자들이 있기 마련이다. 그래서 기자 생활을 하면서 지금과 같은 다른 견해의 조언을 많이 들었다. 

<원불교신문>을 읽고 관심을 가져주며 개인 또는 다른 이론의 의견을 제안해주는 전화에 감사하며, 아울러 하나 부탁을 전하고자 한다. <원불교신문>은 단순히 교단의 소식을 전하는  역할만 있는 것이 아니다. 현재의 사실을 고스란히 기록으로 남기는 역사의 창고이며, 교단의 정책에 대한 분석과 안내 등이 보관되는 자료실이다. 

신문에서 기록된 정책회의의 결과나 주요과정의 내용, 정책발표, 현안의 기획기사 등은 또다른 정책을 준비하거나 훗날 역사적 배경과 사실을 찾으려할 때 자료로서 상당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기자가 신문에 기고한 기사에 다른 의견이나 이론이 있다면, 기자 개인의 연락처로 의견을 전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글로써 참여할 것을 독려하고 싶다. 더 자세히 분석해 완성된 연구 자료로 남겨질 수 있도록 말이다. 교단의 정책이나 이론이 만들어 질 때 폭넓은 연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신문 기고에 참여해 주고, 더 넓은 토론의 공간으로 <원불교신문>이 활용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현재 <원불교신문>에서는 교화단 제도나 재가교역자·전무출신 제도 등 교단의 전반적 정책방향을 중심으로 기획기사가 연재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자가 나름의 관점과 분석으로 역사적 사실이나 제도의 문제를 분석했을 때 미처 헤아리지 못한 부분이 있다면, 더 보완될 수 있는 기사가 되도록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한다. 

[2019년 12월2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