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중앙교의회에서 교정원 전무출신 인력 5명 증원 계획에 대한 질의응답이 있었다. 교정원 기획실의 설명에 따르면 기존업무에 더해지는 혁신 과제들, 교단 3대 평가와 4대 설계, 날로 늘어나는 정보전산 업무, 남북교류와 통일시대 준비 등을 위한 불가피한 증원이다. 교화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업무량 증가에 따른 증원이라 충분히 공감이 된다. 

하지만 자꾸 커지기만 하는 총부의 규모에 대한 우려도 있다. 현재 총부에는 110명 정도의 출가 인력이 근무 중이다. 우리가 흔히 총부라고 칭하는 중앙총부는 종법사, 수위단회, 중앙교의회, 교정원, 감찰원으로 이뤄진 집합체인데 이 가운데 80명 수준인 교정원 인력은 총부 인력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특별교구를 제외한 국내 13개 교구 가운데 전무출신 수가 100명 이상인 교구는 전북교구와 서울교구 2개 교구뿐이다.  9개 교구는 전무출신 수가 60명에도 못 미친다. 참고로 13개 교구 평균 전무출신 수는 56명에 불과하다. 이렇게 중앙 조직에 출가 성직자가 과도하게 밀집되어 있는 경우를 다른 종단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교정원과 총부의 몸집은 계속 커질 것이고 퇴임자 증가세와 신규 인력 감소세가 맞물려 총부와 현장의 기형적 불균형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여기에 더해 지역간 인력 불균형과 교세의 격차도 악화될 것이다.
 
교정원 인력 증원 논의는 시야를 넓혀 중장기 인력 수급 방안의 차원에서 볼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재가 교도 인력의 적극 활용, 외부 조직을 활용한 아웃소싱, 현장과 협업 강화 등을 통해 총부의 출가 인력 비중을 서서히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부와 교정원의 적정 규모는 거시적 교화정책과 해외 총부, 대교구제 같은 교단 조직 개편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중앙과 교구, 국내와 국외가 어떻게 업무를 분담하고 교화 측면에서 유기적 협조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와 맞닿아 있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교구별로 5-6배 규모 격차를 보이는 현실을 놓아둔 채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교구자치제 논의를 이제는 큰 틀에서 매듭지어야 한다.
 
현 교정원은 교구편제 개선을 주요 교정 목표로 삼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설득작업으로 교단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3대를 넘기기 전에 교단의 새로운 그림을 그리고 교구 자치 역량을 강화하려면 서둘러 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 

총부와 교정원의 적정 규모는 해외총부와 교구자치제의 청사진과 긴밀히 연계되어 있음에 주목하자. 미래 교화를 위해 총부와 교구의 알맞은 크기에 대한 깊은 연구와 힘 있는 취사가 절실한 때다.

[2020년 11월 27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