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원불교신문=류현진 기자] 원불교를 만나 인생이 활짝 피었다는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淸陀圓 宋慧慈·73). 그는 원불교를 만난 것은 로또에 당첨된 것과 같다고 말한다. 부임지마다 어려운 환경도 많았고, 빚을 짊어지는 등 순탄하지만은 않았을 터. 하지만 그는 어렵고 힘들게 살았다는 생각 없이 평생을 누리고 살았다는 감사함이 가득하다. 어린이집 운영에도 탁월한 성과를 보여 합천에서 경상남도 도지사상, 부안·임실에서도 전라북도 도지사상을 수상한 그의 삶의 이야기로 들어가 본다.


여자로서 다른 인생을 살리라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에서 태어난 송 원로교무. 마령은 대종사 당대 때부터 교당이 있었던 곳이라 그가 어린 시절 마령교당의 학생회, 청년회 활동이 활발했었다. 초등학교 4학년 무렵, 무교였던 그는 친구들이 좋고 언니들이 좋아 부모님 몰래 마령교당에 다니기 시작했다. 각산 신도형 종사가 마령교당에 와서 강습하는 모습을 보고, 송 원로교무는 전무출신을 서원하게 된다. “시골에서 어머니가 한평생 고생하시며 사는 모습이 너무 싫었어. 어려서부터 여자로서 생활을 좀 바꿔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지. 그런데 각산 종사님을 보고, 저런 길도 있구나 하면서 원불교 전무출신을 하면 제일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부교무 시절
그의 첫 발령지는 화포교당이었다. 당시 주임교무였던 박영권 교무는 생애 첫 부교무를 맞아서 행복하다며 교화 활동을 열심히 하는 송 원로교무를 예뻐했다. “떼보처럼 어리광을 많이 부리고 살았어. 칭찬도 많이 해주시고 그렇게 후진들을 예쁘게 봐주신 게 머릿속에 많이 남아있어. 우리가 배워야 할 모습이다 싶었어.”

다음 부임지인 삼례교당에서 6개월 근무 후 그는 폐가 안 좋아 신도안에 가서 휴양하게 된다. “폐에 구멍이 나고 좋지 않았어. 성격이 긍정적이라 웃기를 좋아하고, 대산상사님 밑에서 있으면서 6개월 정도 치료하니까 많이 호전됐어.” 치료를 겸할 겸 원광대병원에서 근무하다, 그는 대산종사의 명에 따라 다시 청주교당 부교무로 발령을 받는다. 

“가는 곳마다 자기 역할이 있는 것 같아. 청소년 전국체전을 마침 청주에서 하는데 전북 선수들 10명을 교당에 유치해서 교도님들 댁에서 숙식할 수 있게 했지. 그때 매스컴을 많이 탔어. 또 청주교당에서 서청주교당, 북청주교당(현 상당교당)을 연원교당으로 세웠어. 오전에는 서청주 교당, 오후에는 북청주 교당 봉불식을 진행했지. 이제 교무 부임할 때가 됐으니 서청주 교당으로 가라고 해서 부임하게 됐어.”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서청주교당 신축봉불
서청주 교당은 교도 7명을 데리고 350만원 짜리 전세로 시작한 교당이었다. 쌀이 없어서 눈물 바람으로 시작했던 곳이지만 그가 근무하는 5년 동안 어엿한 교당을 세우고 나온다. 그의 노력으로 교도가 30여 명이 됐을 때, 교도회장의 딸이 젊은 나이에 먼저 열반에 들게 됐다. “회장님을 위로하기 위해 하섬에 모시고 갔는데, 차가 고장나는 바람에 밤새 차 속에서 보내야 하는 일이 있었어. 회장님이 너무 미안하니까 교무님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겠다고 하셔서, 교당 짓는 것이 원이라고 했지. 그랬더니 교당을 세울 수 있는 땅을 희사해 주셨어.” 땅은 생겼지만 교당을 어떻게 지을 것인가 연마하며 기도를 하다 보니 그는 평떼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어려운 교도를 붙잡고 부탁했는데 그분이 흔쾌히 불사에 합력해줬다. 그렇게 시작한 평떼기에 다른 교도들도 합력해 빚 없이 35평 정도의 교당을 신축봉불하게 됐다.


완도교당을 살려내다
서청주에서 집을 지어놓고 그는 문을 닫아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한 완도교당으로 발령이 난다. 완도교당은 교도가 거의 없고 바닷가에 있어서 교당에 바다의 짠물이 들어와서 그런 흉가가 따로 없었다. “대산상사님이 여름이면 완도 소남훈련원에 자주 오셨어. 3년 사는 동안 매년 여름마다 모셔서 스승님을 뵙는 기쁨으로 살았지.” 대산종사를 배알하기 위해 오는 교도들이 완도교당에 와서 참배하고 가니까 살길이 열렸다. 그렇게 모여진 헌공금으로 교당도 보수하고, 교화에 힘써 처음에 6명 정도던 교도가 30여 명이 넘게 됐다. 학생 회원도 10명이 넘어 그 부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뭉쳐지게 됐다. 김보선·김세은 교무가 그 당시 완도교당의 학생회원이었다. 교화에 전력을 다하던 중 송 원로교무는 건강이 안 좋아져 잠시 휴무하게 된다.


임실에서 교화가 활짝 꽃 피다
휴양한 뒤 그는 임실교당으로 발령을 받는다. 어린이집을 시작할 때였는데 전임교무가 집은 지어놓고 갔지만 아무런 기자재도 없고 빚이 많은 상태였다. 처음에는 어린이에 대해 전혀 모르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다. 하지만 교법으로 하면 된다는 생각이 들자 자신감이 생겼다. “어린이집을 하려 했을 때, 교도들이 전부 반대하는데 전임 교무님만 확신이 있었어. 이 집에 와서 천도재를 엄청나게 지냈기 때문에 그 영가들이 다 태어나면 우리 어린이집으로 올 것이라 하셨지. 그런데 정말 어린이집 정원이 130명이었는데 새벽부터 줄을 서야 우리 어린이집에 들어올 수 있을 정도로 성황이었어.” 그는 재롱잔치보다 원아들의 가족 3대가 함께 할 수 있는 온 가족 운동회를 매년 가을 개최해 지역에서 유명인사가 됐다. 600여 명이 함께 하는 운동회 덕분에 학부모들까지 일반교화로 이어졌다. “초등학교 운영위원으로도 초청받았어. 우리 어린이집 아이들이 학교에 와서 너무 예의 바르고 잘한다고 칭찬을 많이 들었어.” 그는 임실군청과 합력해서 1년에 한 번씩 청소년잔치를 열어 청소년 교화에도 큰 성과를 올린다.

그는 또 공무원 교도 모임인 ‘원우회’를 창립했다. “가는 곳마다 관과 관계를 잘 맺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려 노력했어. 원불교에서 도울 게 뭐가 있겠냐고 먼저 묻고 서로 도움을 주고받았지.” 마침 임실군청에 근무하는 교도들을 모아 모니 60~70명이 됐다. 송 원로교무는 공무원 법회를 시작했고 좌산상사가 ‘원우회’라는 이름도 하사했다. 지금까지 원우회 모임이 이어지고 있다. 그는 임실교당에서 군단위에 교당이 하나씩 있어야 한다는 좌산상사의 뜻을 받들어 충남 청양에 땅을 사서 청양교당의 부지로 희사하기도 했다.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청타원 송혜자 원로교무

가는 곳마다 살려내는 교화
그는 10년간 임실에서 교화를 성장시키고 합천으로 간다. 합천교당에도 어린이집이 있었고 운영이 잘 되고 있었다. 그는 합천 군민을 대상으로 하는 어린이민속잔치를 기획했다. 마침 어린이집 학부형들이 교사가 많았고, 전교조 교사들이 함께하자고 힘을 보탰다. 군청에서도 우리가 할 일을 대신 해주니 고맙다며 후원을 받게 돼 매년 어린이민속잔치를 시행하게 됐다. 

이어 발령받은 부안교당은 신축봉불로 인해 빚이 많은 상태였다. 그가 부임하고 나서 놀랍도록 천도재가 끊이지 않았다. 일주일에 7~8번 천도재를 지낼 정도로 재가 많이 들어왔고, 교도가 아닌 일반인들의 천도재가 많았다. “3억을 3년 만에 다 갚았는데 이게 음부에서 도와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어. 교무는 사심 없이 살면 다 이뤄지는 것 같아. 난 젊은 후진들에게 돈을 쫓아가지 말라고 해. 부와 명예 등 모든 것들이 나에게 오게 만들어야지 쫓아가면 묘하게 도망가는 이치가 있어.”


문정교당 불사
퇴임 후에도 그는 불사를 놓지 않고 있다. “가족 교당을 하나 불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어. 그래서 예비교무 때부터 용돈의 일정 부분을 계속 저축해 왔어.” 마침 그의 남동생인 송용원 교무가 개척교화에 뜻이 있어 송 원로교무가 전세라도 얻을 수 있게 후원금을 지원해 지금의 문정교당이 창립됐다. 지금도 살뜰하게 돈을 모아 일 년에 한 번씩 후원을 이어가고 있다. 그가 후진들에게 전하고픈 당부이다. “전무출신은 혼자 잘하는 것도 좋지만 더불어서 함께 잘 살아가는 공부를 꼭 하면 좋겠어.” 

[2021년 6월 11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