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은 재난연구자 저서 〈세월호, 우리가 묻지 못한 것〉
8년간 조사관 활동, 사회는 재난을 어떻게 책임져야 하나

박상은 교도
박상은 교도

[원불교신문=민소연 기자] 세월호 참사 이후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설립됐고, 이후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사회적 참사위원회까지 진실의 조각을 모았다. 이 긴 항해 안에 박상은 교도가 있었다. 조사관이던 그는 재난연구자로 성장해 우리 사회의 재난조사와 책임을 짚은 책을 펴냈다. 

〈세월호, 우리가 묻지 못한 것〉은 재난 조사 실패의 기록이자 지난 8년을 돌아보는 하나의 맺음이다.

재난 조사는 녹록지 않았다. 특조위는 강제해산 됐고, 선조위는 원인을 결론짓지 못한 채 내인설과 외력설 둘 다를 답으로 내놓았으며, 사참위 역시 결론이 명확지 않았다. 왜 원인은 선명하지 않으며 책임지는 이들은 없는 것일까.

그는 우리가 재난조사에 대해 가진 분별과 주착에 대해 말한다. 과학적 수사에만 매몰돼 조사 방향에의 논의가 미비했음을 짚는다. 처벌을 위한 책임묻기에 치중한 나머지 구조적 원인 규명이 희미해졌던 점도 뼈아프다.
 

그는 우리가 물어야 했던 질문들을 꺼낸다. “개인 처벌을 넘어 사회 시스템을 바꾸기 위한 재난조사란 어떻게 가능한가?”, “권력을 가진 이들도, 우리 자신을 면제하지도 않는 사회적 책임의 방식은 무엇인가?”

이 질문들에 대답할 때, 대한민국은 한 걸음 나아간다. 사실 세월호 이후 우리 사회는 달라져 왔다. 산재 사망을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적당히 타협했던 재난 문제에 있어 피해자의 권리나 정책을 언급하게 됐다. 나아가 우리는 나의 방식이나 행위가 재난을 낳는데 도왔던 것은 아닌지 성찰할 수 있었다.

성찰은 원불교의 방식이기도 했다. ‘세월호를 기억하는 원불교인들의 모임’은 이웃종단과 기억공간을 지켰고, 올해도 광주전남교구는 팽목항에서 위령재를 올렸다. 우리의 위로는 어떤 의미일까. 그는 “조사가 끝나는 것은 곧 잊히는 것이라는 생각들이 많았다. 원불교의 위로는 특히 유가족들이 종결을 받아들이는 데 힘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 8년, 그가 자주 떠올린 문구는 ‘애착 탐착 다 버리고’였다. 영가와 유족들이 애착 탐착을 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조사관으로의 그의 태도이자 사명감이었다. 

세월호를 넘어 그는 사회학, 특히 재난과 위험을 연구하며 사회운동단체 플랫폼 C에서 활동한다. 그는 “앞으로도 재난의 시기를 살아야 하기에, 예방을 넘어 사회가 이를 끌어안고 온전히 받아들이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2022년 7월 25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