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교구
성과제 교화, 내 교당 교화 주의, 획일화 벗어나야

교단 제4대 제1회 설계특별위원회(이하 설계특위)가 미래세대인 3040(혹은 부직자) 출가교역자들의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교구별 현장 순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설계특위 실무를 담당하는 원불교 정책연구소가 두 번째 순회 일정으로 9월 28일 부산울산교구를 찾았다.

이 자리에서 부산울산교구 3040 출가교역자들은 ‘내가 생각하는 4대 키워드’라는 주제로 ▷내가 꿈꾸는 교화: 10년 후 나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이것만은 꼭 바꿔(만들어) 주세요 ▷내가 생각하는 원불교의 미래 키워드 등의 내용으로 의견교환을 진행했다. 이에 10년 후 모습으로 ‘법력 갖춘 교당 교무, 교화 버스킹, 나이가 들어서도 어린이 전담 교무, 훈련원 교무, 신앙수행은 출가처럼(수도인) 업무행정은 재가처럼(전문인), 편의점 점주(편리한 교당)’ 등과 같은 역동적 꿈이 펼쳐졌다.

이어 부산울산교구 미래세대는 “성과제 교화, 내 교당 교화 주의, 획일화 등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공정하고 효율적 인사 제도, 현실적 복지, (휴식을 위한) 교무의 날 보장” 등의 필요를 언급하는 동시에 “전무출신으로서 교무 개개인의 마음 자세와 태도, 노력 등이 중요하다”는 데에도 한 목소리를 냈다.

원불교의 미래 키워드로는 사람, 개벽, 종교 자유, 꿈, 콘텐츠, 경제적 자립, 희망과 공부, 훈련, 역량개발 등이 언급됐다. ‘꿈’을 미래 키워드로 언급한 교무는 “재가출가 교도가 함께 꿈을 꾸고, 교당이나 교단은 그 꿈이 이뤄지는 터전이 되면 좋겠다. ‘꿈을 이루는 교당, 꿈을 만드는 원불교’가 된다면 얼마나 멋있을까”라고 말했다.

부산울산교구 미래세대들은 교구의 교화 강점으로 ‘부산은 한 시간 생활권으로서(울산 제외) 지구단위나 교구단위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꼽았다. “지구별 교당 거리가 가깝게 위치한 상황에서 재개발 지역에 편입된 교당이 있는 경우, 이는 새로운 교화모델 창출의 기회가 된다”고도 했다.

한편 교구자치제에 대해서는 “행정권과 경제권이 모두 교구로 내려오려면 인력과 비용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는 반대다”, “교구자치제로 교구 내에 인사권이 모두 내려오면 이에 대한 갈등과 문제가 오히려 심각해질 수 있다” 등의 의견을 나눴다.
장지해 기자 okjj@wonnews.co.kr
 

서울교구
교구 직속 팀제로 교화 협업·분업 유연하게

원불교 정책연구소의 세 번째 순회 지역은 서울교구였다. 정책연구소는 10월 13일 한강교당 멀티룸에서 서울교구 3040 미래세대를 만나 컨퍼런스 형식으로 일정을 진행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교화(일반, 청소년, 대상별), 지역사회, 사회화’를 주제로 준비된 발표로 시작됐다. 발표에 나선 네 명의 미래세대(이강원, 최호천, 박여주, 김혜원 교무)는 다양한 의견을 제안했다. 

서울교구 미래세대는 지역사회 교화에 있어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종교로서 원불교가 앞장서는 종교가 되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 “20년 전의 교화, 지금의 교화, 앞으로의 교화가 똑같다면 미래가 없다”며 “젊은 교역자들에게 개척교화의 문을 활짝 열어줘야 한다”고도 말했다. 

함께하는 교화에 대한 고민들도 묻어났다. “개 교당별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존재한다. 손 잡을 수 있으면 팀제로 함께 활동하고, 지구단위나 가까운 두세 곳의 교당이 연합한 거점교화가 필요하다”, “교구에 청소년교화센터가 있어서 교구장 또는 지도교무의 지도하에 청소년 담당교무 공동체 생활 교화를 해보면 어떨까 싶다” 등이다.

이어진 토론에서 서울교구 미래세대는 “원불교는 지금 생존의 기로에 있다. 원불교가 살아남으려면 교화를 잘 해야 한다”며 “교화를 잘 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구조도 제도도 인사도 틀을 깨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 ‘하고 싶은 분야나 전문성 가진 분야가 반영되는 유연한 인사제도 마련’, ‘중앙에서 변화를 시도하는 것보다 교구에서 시도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교구자치제 강화’, ‘교구 직속 팀제로 협력하며 각자의 성향에 맞는 교화를 나눠 담당하는 방법’ 등이 제안됐다.

교화와 관련해서는“의식집례 위주의 법회 풍토를 바꾸고, 선방 또는 공부방을 중심으로 해야 교화가 살아날 수 있다”, “교화의 본질은 스스로가 변화되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 데 있다” 등의 의견을 주고받았다.
장지해 기자 okjj@wonnews.co.kr
 

경남교구
사람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교화현장’ 돼야

원불교 정책연구소는 10월 13일 경남교구를 방문, 제4대 제1회 설계의 과제를 놓고 3040 미래세대의 의견을 모았다. 이 자리에서 경남교구 미래세대들은 교구자치제와 교화환경, 인사정책 등을 주제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특히 정책연구소의 교구자치제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에서 경남교구 미래세대들은 “교구자치제 시행이 행정뿐 아니라 교화 부분까지 이어가는 것이냐?”는 질문과 함께 “교구가 인사권과 재정권 등 모든 업무를 시행하면서 총부 인력도 현장 배치를 한다고 하는데, 가능한가? 지금의 인력으로도 총부 운영이 어렵지 않은지 염려된다”고 우려하기도 했다. 이어 “정책도 사람이 있어야 가능하다. 현재 휴무·휴역자들이 많은 만큼 그 인력이 배치되도록 관리하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각자의 생각들을 설명했다.

교화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앞으로의 시대는 수도하는 처소도 신자를 따라 어느 곳이든 교화현장이 돼야 한다. 교당에 앉아서 기다리면 안 된다. 출가자의 직업 역시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는 의견과 “부직자들이 재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 시간이 보장되면 좋겠다”는 제안도 덧붙였다.

인사정책에 대한 방향에서는 “교화현장이라던가 전문적인 부분에 너무 자주 인사이동이 있어 문제라고 생각한다. 전문인력양성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는 공통의 목소리가 나왔다. 이외에 “혁신을 말할 때 분권화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그러면 중앙으로부터의 맥이 끊기지 않을까 염려스럽다”, “신년하례가 없어진 후 경남지역 교도들이 중앙총부를 방문할 기회가 적어진 점도 아쉽다”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유원경 기자 an11@wonnews.co.kr

[2022년 10월 17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