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대학, 병원, 공공기관 등 앵커기관
‘순환경제’ 시스템으로 공존공생 해야
종교계도 지역사회와 상생 관계 절실

[원불교신문=이여원 기자] 지난 연말 기준 전라북도 인구는 176만9,607명. 전북 인구가 2050년에 150만 명 아래로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향후 전북 인구는 2030년에 169만 명, 2040년에 160만 명, 2050년에는 149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도내 시·군별로 보면 1년 새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고창의 감소세도 두드러졌다. 다만 완주군은 지난 연말 인구가 9만2,422명으로 1년 전보다 1,280명 증가했고, 김제시도 542명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2022년 익산시 인구는 27만 3,697명으로 전년 대비 1.6%p(4,416명)감소했다. 

이에 각 지자체마다 청년층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를 높이고, 각종 복지 여건을 향상하는 등 장기적 인구정책을 추진 중이다. 국토연구원이 지난해 11월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청년들이 지역 정착의 조건으로 일자리뿐 아니라 ‘주거 비용’과 ‘대중교통 편의성’ 등도 함께 고려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이에 맞춘 정책을 내세워 청년 잡기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전북도는 올해부터 연령·거주·소득·재산 요건 등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에게 ‘지역정착 지원사업’을 확대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올해부터는 미취업 청년의 구직 의욕 고취 및 사회 진입을 촉진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구직을 희망하는 청년 2천명에게 6개월 동안 지원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익산시도 2026년까지 인구 30만이 거주하는 도시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로 ‘행복+ 익산 2630’ 인구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익산형 인구정책으로 시민들의 행복이 플러스 되어 사람이 모이고, 살고 싶은, 다이로움 익산 만들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5면

한편 수도권 집중현상과 출산율 저하로 지방 중소도시 인구가 감소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행정의 힘만으로는 인구정책 대안이 어렵다는 목소리에 설득력이 실린다. 인구가 감소하면 지역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지역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익산시와 통계청의 자료를 활용해 ‘2022년 익산시 인구 변동 현황’을 분석한 좋은정치시민넷의 손문선 대표는 “순환경제 시스템”을 강조했다. 손 대표는 “지역의 재화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지역 내에서 순환되는 시스템이 돼야 한다”면서 “지방도시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앵커기관(도시재생의 마중물 역할을 할 핵심시설, 즉 지역 내 공공기관, 공기업, 대학 병원 등)을 통한 지역 활성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종교계, 지역과 공동 운명체

인구문제를 단순하게 자치단체만의 문제로 생각하면 안되고, 지역 내 대학과 병원 등이 지자체와 합력해 고용창출과 정주권(일정한 곳에 자리를 잡고 살 수 있는 권리)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원광대학, 원광대병원, 익산시가 지역 공동의 생존 목표를 가지고, 지역 내에서 일자리나 서비스가 환원될 수 있도록 지원 정책을 펴야 공존공생 한다는 의미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자연적 감소와 맞물려, 지역 전출 등 사회적 감소세는 종교계에도 큰 타격이 되고 있다. 특히 교화 텃밭이라 할 수 있는 전북지역의 심각한 인구 감소세는 전북교구, 중앙교구의 교화 회복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전북교구의 경우, 총 89개의 교당(고창지구(6), 김제지구(7), 남원지구(8), 부안지구(6), 서전주지구(12), 임실지구(8), 전주지구(14), 정읍지구(18), 진안지구(10))과 복지기관 36개를 포함 총 95개의 문화·교육·사업·의료기관이 있다. 

중앙교구는 총 39개의 교당(군산지구(10), 남중지구(15), 이리지구(14))과 4개의 복지기관 산하 24개 기관이 있고, 이외 문화·유아교육기관 등이 지역에 기반을 두고 교화·교육·자선활동을 펴고 있다. 

모든 연령층에서 인구가 감소하고, 특히 20~30대 젊은층이 일자리를 찾아 타지역으로 가장 많이 이동하는 인구탈출 현황(전입-전출)을 감안하면, 지역과 종교계가 공동의 운명체라는 인식이 절박하다. 인구 감소는 단순한 지역사회 문제가 아닌 지역과 종교계의 ‘생존’ 문제인 것이다. 

인구절벽시대, 지역과 종교계의 상생관계가 절실한 이유다.

[2023년 1월 16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