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작사·논문·문학까지, 챗GPT 사용자 1억명 돌파
시말서도 AI가 대신… “MZ세대의 니즈를 잘 파악해”

[원불교신문=김도아 기자] 챗GPT(ChatGPT) 검색창에 ‘챗GPT 시말서 대신 써줘’를 요청했다. 그러자 “저는 이번 일로 인해 회사의 정책을 준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이런 행동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회사 내부의 정책과 규정에 맞게 행동할 것을 다짐합니다”라는 정중하고도 성숙한 어휘가 적절히 잘 배치된 시말서가 뚝딱 완성된다.

한 회사원이 파일 전송을 위해 회사 내부망 컴퓨터에 개인 USB를 꽂았고, 그로 인해 시말서 제출을 앞두고 챗GPT를 이용한 사례가 MZ세대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궜다. 

뿐만 아니다. 챗GPT에게 ‘영어로 정중한 요청 메일을 작성해줘’를 부탁해봤다. 그러자 ‘Dear’로 시작하는 인사말과 함께 요청사항을 모두 포함한 문법에 맞는 영문메일을 작성해냈다. 번역기보다 더 올바른 번역이었다. 

챗GPT는 뭘까. 

먼저‘Chat’은 ‘채팅’을 줄인 ‘말’이며, GPT는 Generated Pre-trained Transformer의 앞글자를 땄다. ‘미리 훈련된 생성 변환기’로 직역되는데, 좀 더 세심하게 풀어 보면 ‘어떤 말이 주어졌을 때 다음 말이 무엇인지까지 예측하며 글을 만든다’는 의미다. 검색창에 ‘원불교’를 검색하면 ‘원불교 교무’, ‘원불교 교리’와 같은 연관검색어가 뜨는 원리다. 최근 해외는 물론 국내 지자체와 교육기관, 공공기업에서도 챗GPT 공부에 여념이 없다. 대화·생성형 AI(인공지능)를 발빠르게 도입하기 위해서다. 

특히 독서교육의 약세로 비교적 글쓰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MZ세대와 요즘 청소년들에게 ‘A4용지 한 장을 금세 채워내는’ 챗GPT는 의존력을 이끌어낼 수 밖에 없다. 아직 정확성이 완벽하지 않은 챗GPT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를 ‘감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여긴다. 쿠키뉴스가 2월 13일 챗GPT를 활용해본 MZ세대 청년을 대상으로 자체조사를 진행했다. ‘챗GPT를 신뢰하냐’는 질문에 85%의 응답자는 그렇다고 대답했고, 이 중 10%는 매우 신뢰한다고 했다. 이유로는 ‘인공지능이 충분히 검증된 기술이어서’와 ‘질문자의 니즈를 잘 파악하고 있어서’라고 대답했다. 이에 많은 보호자층은 청소년기 학생들의 과몰입을 염려하며 올바른 가이드라인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 경제매체 비지니스 인사이더에 소개된 일화가 눈길을 끈다. 생후 18개월 아기가 옹알이를 끝내고 처음 내뱉은 단어가 엄마, 아빠도 아닌 미국 AI ‘알렉사’였다는 것이다. ‘알렉사’는 한국의 ‘헤이지니’같은 미국 AI 이름이다. 부모가 집에서 알레사(AI)에게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AI가 생활화된 일상에서 살게될 알파세대에게 챗GPT는 마법이 될 수도, 재앙이 될 수도 있다.

[2023년 3월 1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