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진 교무
김종진 교무

[원불교신문=김종진 교무] 머리가 아프면 진통제를 두통약으로 먹는다. 어쩌다 한 번씩은 아플 때 진통제를 쓸 수 있지만 수시로 머리가 아픈 만성 두통이라면 참 곤란하다. 내성이 생겨 진통제 양을 점점 늘리게 된다. 모든 만성병이 그렇듯 두통의 근본 원인을 찾아서 해결해야 진통제 없이 사는 날이 올 것이다.

두통을 일으키는 질병이 명확한 경우에는 그 질병을 치료하면 된다. 머리와 얼굴 부위의 염증 질환이나 빈혈은 쉽게 두통을 일으킨다. 이때는 그 염증을 치료하거나 빈혈을 개선하면 두통이 낫는다. 그러나 원인을 알 수 없는 ‘원발성 두통’인 경우 현대 의학에서는 치료법이 마땅치 않다. ‘원발성’이란 원인을 모른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원발성 두통에는 편두통, 긴장성두통, 군발성두통 등이 있다. 

한의학은 이러한 원발성 두통의 원인을 변증으로 찾는다. 몸이 너무 차갑거나 너무 뜨겁거나, 혹은 대사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빨라서 생긴다고 본다. 먼저 몸이 너무 차가우면 소화기능이 느려진다. 그러면 소화관 어딘가에 소화가 덜 된 음식물이 적체되어 기의 흐름이 막힌다. 한 곳에서 기의 흐름이 막히면 다른 곳의 흐름에도 영향을 주는데, 그곳이 뇌가 되면 두통이 오는 것이다. 이러한 한증 두통은 배를 누를 때 불편감을 동반한다.

반면 몸이 너무 과열되어 두통이 올 수도 있다. 소양인은 가슴에 열이 많다. 가슴에 열이 있으면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생긴다. 또 가슴의 불기운이 위로 올라가면서 목의 통증이나 입 부위의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얼굴도 붉게 변하고 피부가 붉어지거나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사람에게 두통이 있다면 가슴의 열을 식혀야 두통이 낫는다.

특별한 질병이 없는 만성 두통은 변증으로 어렵지 않게 치료할 수 있다. 그런데 병원을 가기 전 먼저 심호흡으로 다스려 볼 것을 권하고 싶다. 한증이든 열증이든 두통이 생기는 것은 기의 흐름이 막혀 수승화강이 안되기 때문이다. 심호흡은 수승화강을 촉진시켜 두통이 나아지게 한다. 

/김종열한의원장ㆍ전 한국한의학연구원장

[2023년 05월 31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