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위단원 재가출가 구성비 논의… 수위단원 연찬회
전무출신 표준용금제도 결론 못내

[원불교신문=유원경 기자] 수위단원들이 연찬회를 통해 교단 혁신 방향 중 지도체제 혁신을 집중논의 했다. 6월 13일 열린 수위단원 연찬에서 교단혁신특별위원회(이하 혁신특위)의 세 가지 혁신주제(지도체제 혁신, 교화구조 혁신, 전무출신제도 혁신)으로 토론과 함께 교단 제4대 제1회 설계특별위원회의 상황 보고가 있었다. 

수위단원들은 수위단 구성 비율에 대해 출가와 재가를 2:1로 하는 데 대체로 의견이 모아진 만큼, (현재 대략 3:1 비율을) 어떻게 2:1의 구성을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토론이 있었다.

혁신특위는 봉도·호법 수위단을 폐지하는 방안(교헌 제43조 개정안)으로, 출가 남녀 수위단원 각 9인과 재가 수위단원 9인으로 선출되는 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제시된 안에서는 (출가로 구성된)정수위단이란 개념이 삭제됐고, 결과적으로 재가든 출가든 최상위 교화단으로 도입하게 하자는 안이 나오게 됐다.

이에 최상위 교화단의 역할과 최고 결의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는 수위단회의 역할 구분의 문제에 우려를 제기했다. 즉 출가 중심의 정수위단은 최상위 교화단이자 최고 결의기능을 갖는 반면, 재가 수위단원은 최고 결의기능에만 참여하는 형태다. 하지만, 정수위단 개념이 삭제된 것은 재가 수위단도 출가 수위단처럼 최상위 교화단의 역할과 최고 결의기능을 함께 갖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재가 수위단원의 권한을 어디까지 확대할 수 있는 것인가. 재가 수위단원이 항단장이 되고 그 역할도 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이 이어졌고, “재가 수위단원들이 교당 교무의 지위를 넘어서서 지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인가? 그것이 가능한가?”라는 문제를 짚었다.
 

후보 정보공개 등 세심한 연구 필요

근본적으로 현재의 공부와 교화의 체계는 정수위단이 최상위 교화단으로 형성돼 있는데, ‘이 제도를 바꿀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이는 큰 혼란이 예상된다며 우려를 보인 것이다.

수위단원의 선거 방향에 있어서도 혁신특위는 재가 수위단원 선거 방법으로 2~3개의 교구를 묶어 방위별 8개의 선거구로 만들어 직접 선거하는 모델을 선보였다. 하지만 재가 수위단원 선거에 있어 재가 단원들이 직접 뽑는 선거안에는 많은 우려를 표했다.

또한 “한 방위에 몇 개의 교구를 묶게 되면 작은 교구는 들러리가 될지 모른다”, “낙선자들이 겪게 될 후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 염려스럽다”등의 의견을 내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된다면 어떻게 보완해 갈 것인가’를 함께 고민했다. 또한 후보추천위원회 구성이라던가 후보들의 정보공개 등의 사안에서도 더 세심한 연구가 필요함이 언급됐다.

교화구조 혁신을 주제로 한 논의에서는 각 단을 통한 자치공동교화를 제안했고, 각 단원의 역할 분담과 행정 운영에 대한 방안, 교산 처리 등의 세부적인 과제가 거론됐으나 결론을 내지 못했다. 

또 전무출신제도 혁신안에서는 전무출신 용금을 정부 기준치 최저임금에 준한 표준 용금제도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체로 공감했지만, 재원 마련 등 그 대책에는 답을 찾지 못한 상태다.
 

[2023년 6월 21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