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위기가 쓰나미처럼 다가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기폭제가 되었다. 엔데믹 이후 우리 사회는 정상화의 길을 걷고 있지만 종교만은 좀체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단절의 사회를 극복하기 위한 온라인 중심 물질문명의 발달이 그 원인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요인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면 현대시대의 변화에 종교가 발맞추지 못했기 때문이고, 현대 도시인들의 요구에 종교인들이 부응하지 못하는 정서적 이유가 더 크다. 

이에 지금 모든 종교는 비상상황에 직면해 있다. 

각 종교마다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것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그럼에도 종교의 미래는 그리 밝지 않다는 게 일반적 해석이다. 이는 서구사회의 배교현상을 들여다 볼 때 예측되는 것이다. 종교 냉담현상은 단순히 종교 숫자적 위기를 넘어서서 우리 사회의 도덕붕괴와 인간성 상실현상과도 맞물려 있기에 더욱 걱정스런 부분이다. 특히, 우리 사회의 20대를 중심한 젊은 세대들의 종교이탈과 거부는 종교 미래를 더욱 암담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종교위기는 원불교 교단에도 예외가 아니다. 오히려 기성 종단보다 더 심각한 교화위기를 맞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는 당장 예비 교역자(교무 지원자)의 감소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교무 양성기관인 원광대 원불교학과와 영산선학대의 경우, 한 학년에 10명 채우기가 버거운 현실이 이를 말해준다. 이와 더불어, 학생·청년 교화가 붕괴된 것은 이미 오래 전 일이 됐다. 젊은 세대들의 종교기피 현상은 오히려 지금부터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우리 교단은 이에 대한 대책을 심각히 논의해 본 일이 없다. 심각성을 인지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문제에 너무 급급함으로 인해 미래를 놓치고 있지 않은 지 돌아봐야 한다. 내우외환의 위기를 ‘혁신이란 명분’의 내부문제로 전환시킴으로써 종교위기를 방치하고 있는 악순환의 반복이 우려스러운 게 사실이다. 당장은 내부 일을 부각시킴으로써 지금의 중심 세대들이 책임성에서 해방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는 결국 미래세대에게 무거운 짐으로 씌워진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사실, 종교 위기는 누구 한 사람이 일방적으로 책임져야 할 사항은 아니다. ‘우리 모두가 공동으로’ 짊어지고 헤쳐가야 할 사명이다. 하지만 모두가 걱정은 하지만 내가 나서서 해결할 일은 아니라는 ‘남 탓’ 의식이 자칫 위기를 더 증폭시키고 있는 것이 아닌지 각자 각자가 돌아봐야 할 때다. 지금은 교단의 위기에 모두가 응답해야 할 때다. 내가 교단의 주인이라면.

위기는, 잠자는 대중을 깨우는 절호의 기회다.

[2023년 8월 3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