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일 교무
생각은 입장과 처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주장될 수 있다. 주장의 합당함은 대체로 여론의 반응 여부로 검증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몇몇 유수한 교도 단체에 관한 생각의 편린(片鱗)들이다. 먼저 단체 사무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에게 미리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교단에는 많은 단체가 있지만 그중에 대표적인 몇 조직을 들라면 당연히 봉공회, 청운회, 여성회등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 단체들은 그 동안 각기 교단 발전의 한 축을 담당했을 만큼 역사도 깊고 업적 또한 뚜렷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단체를 대상으로 편편의 생각을 권하고 싶은 까닭은 단체 조직 상호간 중첩과 충돌, 특히 교당교화에서 봉착하게 되는 교도들의 불필요한 중압감이 교화 장애의 한 요인이 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들 조직은 대외적으로는 NGO적 성격을 갖지만 교단 내부적으로는 관변단체적 특성을 고스란히 갖고 있다. 중앙, 또는 교구임원 중심의 활동 성향과, 중앙의 필요에 의해 개교당 조직이 이루어지는 하향적 성격이 그렇다. 이러한 성격은 개별 교당에 이르러서는 조직 가입에 있어 비자발적인 때론 강제에 이르게 되기 십상이다.

며칠 전 교구에서 만난 한 이웃교당 모 단체 회장은 관련 행사를 마치면서 나에게 이렇게 푸념했다. “좋은 일을 하자는 취지는 좋지만 교당 단체 회장을 맡고 나서 지구, 교구의 가지가지 모임과 회비로 인하여 시간적 경제적 어려움이 적지 않다”고 호소하였다.

교당 유지성금이나 보은활동 성금말고 칠팔가지 회비가 여간 부담이 아니라고 하였다. 아마 이와 같은 막연한 중압감은 몇몇 교당 임원에게만 한한 것은 아닐 것이다.

일반 교도들 역시 봉공회의 경우는 사실상 의무가입을 공식화하고 있고 모든 남성 교도는 청운회에, 모든 여성 교도는 여성회 참여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개교당 단위에 이르면 그 위상이 애매하다. 교당에는 이미 교당교의회가 있고 교화단이 있으며 교화협의회에는 각 분과들이 있어 그 활동에 중첩을 피할 수가 없다. 더욱 애매한 것은 봉공회·청운회·여성회끼리도 모든 활동이 구분되지 않는 다는 점이다. 최근 위 단체들의 분유돕기, 담요보내기, 국수공장 기금마련등 일련의 전국 모금과 행사가 그 대표적 예이다.

신학자 하비콕스는 그의 저서 《세속도시》에서 현대사회의 대표적 특징중의 하나로 익명성(匿名性)을 들고 있다. 타인에게 불필요하게 노출되고 스스로 원하지 않는 조직에 편입되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이다.

우리 교단도 교화현장을 중심으로 불가피한 조직은 그 실효성을 높이고, 그 외 조직은 교도 필요에 의한 임의조직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진진하게 검토 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