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종법사의 인품과 종교 혼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수시법문>
사사불공이 못되면 견성하지 못한 사람
생불은 물에 녹지도 불에 타지도 않는다.
◇ 『사사불공은 원만행이요 처처불상은 견성이다. 견성을 하면 우주 전체를 부처로 알기 때문에 변함없는 불공심이 나온다. 조금 아는 것 같아도 성리에 토가 떨어지지 아니하면 아닌 것이 나온다. 또한 견성을 했다 할지라도 보림을 잘 해야 한다. 각자 스스로가 밀밀해서 자기 마음속에 여우가 크는가 아니면 사자가 크는가를 주의해야 한다.
마음의 광명이 삼라만상을 차별 없이 비출 줄 알아야만 천지가 그대로 응기 한다. 응기가 된 다음에는 다시 양기(養氣)해야 한다. 대자대비가 일시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큰 적공으로 쌓이고 쌓인 것이다. 시방일가 사생일신의 마음으로 일상생활을 해야 대자대비요 사사불공이다. 그러면 사은과 내가 하나가 된다.』
◇ 『스스로 견성한 것 같이 생각되나 일상생활에서 일마다 불공이 되지 않으면 분명한 견성을 못한 줄로 알아서 일체 생명을 위해서 심신을 다 바쳐도 여한이 없는 불공을 해야 한다.
청정법신불이 우주에 가득 차 있음을 깨치고 각자의 몸에 부처를 모셔야 생불이 된다. 생불이 되어야 남을 생불로 만들 수 있지 죽은 부처는 죽은 부처만을 만든다.
진흙으로 만든 부처는 물속을 건너가지 못하고, 나무로 만든 부처는 불속을 건너가지 못하여, 금으로 만든 부처는 용광로 속에서 녹아버리고 만다. 그러나 생불은 물에 녹지도 불에 타지도 않는다. 천만 경계를 다 헤쳐나간다.』
◇ 『일원 대도를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으로 마련하여 놓으신 조불 계획은 대종사님께서 무량 세에 계획하신 원력이요 방법이다.
부모가 자녀를 키울 때에 무량한 사랑을 베풀어야 그 자녀가 살도 찌고 키도 크는 것이다. 고아들은 설사 아무리 잘 입히고 잘 먹어도 여위기만 하는 것은 부모의 뜨거운 사랑이 없기 때문이다.
스승이 제자를 성불시키는 것도 간절히 훈증해서 그 정신을 깨우쳐주는 것이다. 마치 어미닭이 병아리를 깨는 것과 같은 법의 훈증이 있어야만 범부가 부처로 된다. 대종사님을 직접 모셨던 제자들은 그 기운으로 지금도 공부나 사업에 한 몫 크게 하고 있지 않는가. 이렇게 대중이 모여서 훈련 받은 가운데에 일심도 얻지 지혜도 단련되는 것이다. 혼자서 재주 부리고 산중으로 들어가는 사람 큰 성공 못한다. 대종사님께서 혼자서 산중을 즐기는 사람을 걱정하시고 꾸중하시었다.
김묘계 선생을 그 아버지가 송구봉 선생께서 맡길 때 논을 사주고 10년을 약속했다. 그러나 몇 해가 되도록 하도 소식이 없어 보고 싶은 마음으로 7년 만에 가봤더니 공부는 안 시키고 나무만 시켜 갈퀴손이 되어있는 것을 보고 귀중한 아들을 고생만 시켰구나 싶었다. 괘씸한 생각으로 아들을 집으로 데려 가려고 작정하고 있는데 구봉 선생이 그 마음을 알아차리고 집으로 돌려보내 줄 터이니 한 번 실력이나 알고 데려가시오 했다. 서고에서 아무 책이나 가져다가 읽히고 뜻풀이를 시켰더니 막힘없이 척척 아는지라, 그 때에야 사계 선생의 아버지가 깜짝 놀라 10년을 다 채워달라고 애원했으나 구봉 선생이 거절하면서 천하 문장을 만들려 했는데 조선 문장 밖에 못 만들었다고 했다. 즉 이미 사심(私心)이 생겼으므로 더 이상 가르킬 수 없다는 것이었다.
우리의 공부도 항상 그 경전이요 그 방식이지만 하고 또 하며 사심 없이만 공 들이면 조불 성불하는 묘방이 되는 것이다.』
◇ 내장사를 참배하고 말씀하시기를
『서가모니불이 이 나라에서 탄생하지 아니 하셨으나 한국의 이 깊은 산골에까지 들어와 이처럼 경치 좋은 곳에서 응대 받으시고 아름답게 모셔지는 것은 다 돌아오는 명예와 권리를 없앴기 때문이다.』
◇ 모 종단의 분쟁대립 소식을 듣고 말씀하시기를
『위태로운 곳에는 가까이 가지 말고 어지러운 곳에는 머물지 말라. 지상의 만물은 다 상대되고 시비가 분분하나 하늘의 별을 보고 시비하는 사람은 없다. 그러므로 저 푸른 하늘의 별처럼 시비에 초연하라.』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