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대광 <2>

2. 정기훈련법
정기훈려의 특징은 타율적 집단 훈련
염불·좌선 등 11과목으로 원만한 삼학병진 수행
실생활 활용 위해 미리 준비하는 공부
<정기훈련의 의미>
일정한 훈련 기간을 정하여 공부인으로 하여금 법의 훈련을 받도록 하는 것이 정기훈련이다. 다시 말하면 일정한 공부기간을 정하여 놓고 소정의 과목을 이수토록 하는 것이 정기훈련이다. 교역자를 양성하고 있는 선학원의 교육과정도 정기훈련의 하나이며 동계· 하계를 통하여 실시되는 각종 훈련도 정기훈련에 속한다.
재가· 출가 간에 정기적으로 법의 훈련을 받지 아니하면, 교법을 이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행 길을 원만하게 잡을 수 없다. 정기훈련은 기초를 다듬는 훈련으로써 정기훈련과정을 제대로 이수하지 못하면 휘고 굽은 나무와 같아서 세상에 별로 유용하게 쓰이지를 못한다.
스승의 훈도와 법의 채찍을 받지 아니하고서 어찌 큰 그릇을 이룰 것인가? 정기훈련 과정에서 실력을 얻어야 상시훈련 과정을 유감없이 밟을 것이다.
<정기훈련의 특성>
정기훈련의 특성을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타율적 집단훈련이다. 스승의 지도와 법의 훈도 없이 성불하려고 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원만한 법의 규제 속에서 원만한 재목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고락을 함께 나누면서 훈련을 받아야만 법력이 빨리 성장하는 것이다. 정기훈련은 무사시의 훈련이다. 법도 있는 생활관을 가지고 사는 사람은 별로 일이 없는 시기에는 취미에 맞는 강습소나 생활의 지혜가 되어주고 힘이 되어주는 기술이나 기능훈련을 받아서 무사시의 여유 있는 기간을 무료하게 보내지 않는다.
교단적으로는 1년을 통하여 계층(유년· 학생· 청년· 일반· 특수) 따라서 여러 가지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지체 없이 훈련에 임하는 풍토가 조성된다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정기훈련은 유사시에 대비하여 미리 연마하고 준비하며 실력을 함축하는 훈련이다. 정기훈련 받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야만 법 있게 자랄 것이며 줄 맞는 공부를 할 것이다. 정기훈련은 매우 기본적이고 대체를 확립해주는 훈련이기 때문에 교단적인 차원에서 정기훈련에 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
정기훈련의 중요성과 특성을 제도적으로 보완하고 기능을 강화하여 결함 없는 정기훈련 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정기훈련 과목>
정기훈련과목 염불· 좌선· 회화· 의두· 성리· 정기일기· 상시일기· 주의· 조행 등 11과목으로써 이것을 교수하고 지도한다. 염불과 좌선은 정신수양과목으로 요지는 망념을 제거하고 진성을 양서하자는 것이다. 하루를 통하여 아침에는 좌선, 저녁에는 염불하는 것이 좋고 마음의 상태를 따라 잡념이 적을 때에는 좌선을 행하고 잡념이 치성할 때에는 염불로 대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경전· 강연· 회화· 의두· 성리· 정기일기는 사리연구 과목으로써 이치의 대소유무와 일의 시비이해를 사통오달로 단련을 시켜 한 마음을 밝혀 만사 말리를 통하게도 하고(명일심통만법(明一心通萬法)), 만사 만리를 연구케 하여 자성의 원리를 통달케 하자는 것이다.(통만법명일심(通萬法明一心)) 대종사님의 혜두 단련하는 법은 사리분석과 직관 두 가지 방법을 병행토록 하시었다. 이 6가지 사리연구 과목으로 꾸준히 단련하여 나아가면 불생불멸의 진리와 인과보응의 이치를 깨달아 제법 자재하는 삼계의 대도사가 될 것이며, 일체 생령의 전로를 비쳐주고 열어주는 진리의 태양이 될 것이다.
상시일기· 주의· 조행 등은 작업취사 과목으로서 불의와 정의를 분석하여 정의는 능히 실천하고, 불의는 능히 제거하는 훈련과목이다. 상시일기· 주의· 조행 등 과목으로 심신을 단련하고 보면 여래의 자비 행을 얻어 육도사생의 자부가 될 것이다.
<정기훈련과 삼학병진>
정기훈련 과목을 분석하여 보면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의 삼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기훈련 시의 삼학을 정시(靜時) 삼학이라고 하며 정시 삼학을 단련하여 힘을 얻으면 저축 삼대력을 얻었다고도 한다.
인간의 생활에는 동과 정의 두 때가 있기 때문에 정할 때 삼학을 단련하여 두어야 동할 때 활용되어질 것이다. 수행상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수행 일변도에 치우치는 것이다. 아울러 연구에만 치우치는 경향도 많기 때문에 무사시라 할지라도 삼학 편수에 떨어지는 것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훈련의 평가에 있어서도 삼학을 기준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정기훈련은 원만한 인간형을 주성해가는 기초 훈련이기 때문에 삼학으로써 인격형성의 근본을 삼아야 한다.
<정기훈련과 일기법>
대종경 수행품 1장에 「… 그것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기법을 두어 물샐 틈 없이 그 수행방법을 지도하였나니…」라고 일기법의 중요성을 밝혀 주시었다. 여기서 그것이란 훈련법이요, 이 훈련법대로 이행하였는가를 조사하고 반성하기 위하여 일기법을 두었다. 정기훈련과정에서는 정기일기를 쓰도록 하여 훈련과정을 세밀히 대조하고 점검하도록 하였다.
<상주선원 교무>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