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결혼의 계절인 5월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결혼비용으로 인해 결혼을 늦추는 경향이 있다. 통계청 2005년 자료 중 '기혼여성(20~44세)이 결혼을 늦추는 이유'의 8.1%는 경제적 문제라고 응답했다. 이 수치는 적은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가정문제, 기타와 같은 외부적 요인을 제외하면 우리사회의 5명 중 1명은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을 미루고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2009년 통계청 월간 인구동향에 따르면 1월 결혼한 사람은 2만8400명이었으나 6월에는 2만5900명으로 감소했으며, 9월에는 2만900명으로 감소세를 계속하고 있다. 이는 경기침체로 인해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는 것으로, 최근 결혼을 미룬 김은영씨 역시 "결혼 준비를 하며 가장 절실히 느낀 부분은 결혼비용의 과도한 지출이다. 주택마련, 예단ㆍ예물, 혼수, 결혼식, 신혼여행 등 예상 이상의 비용이 결혼을 미루게 된 계기가 된 것 같다"며 어려움을 말했다.

실제로 한국결혼문화연구소와 백석대 유성열 교수가 공동연구한 '2009년 결혼비용조사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신혼부부 평균 결혼비용은 약 8천 278만원이었으나, 2009년에는 1억 7천 245만원으로 지난 10년 간 2배가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사회적 물가상승을 고려하더라도 상당한 증가세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결혼비용 증가 이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주택가격으로 2000년 신혼집 마련 비용이 평균 4천 629만원이었으나 2009년 1억 2천 714만원으로 올라 전체 결혼비용에서 신혼집 마련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55.9%에서 2009년 72.7%로 크게 증가하여 결혼자금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저출산으로 인해 국가적으로 출산장려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현재 출산장려책은 주로 신혼부부 대상인 경우가 많고 딱히 효율적이지도 않다. 어느 정치인이 말하는 '결혼하면 1억씩 생활보조금을 주겠다'식의 정책이 아닌 실제적인 정책이 필요한 때이다.

이런 시기에 국가의 앞날을 위해서라도 정책적으로 결혼을 장려하고 결혼비용을 일부 지원해주는 방안을 검토해 보는 건 어떨까. 결혼으로 발생되는 주택구입, 인테리어, 혼수, 웨딩산업, 의료산업 등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고, 이는 곧 출산으로 이어지니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

결혼 후에는 〈정전〉 자력양성에 밝혀준 바와 같이 물질적 생활을 각자 자립적으로 할 것이며, 서로 사랑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각자의 의무와 책임을 다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