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원상의 수행, 신앙하는 동시 수행의 표본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 사용
견성, 양성, 솔성으로 천만경계 공부삼아

▲ 최심경 교무 / 전북교구 우아교당
어떻게 하면 쉽고 빠르게 부처되는 공부를 할 수 있을까? 대각도인이 되는 용이한 방법은 무엇일까?

때때로 이런 생각을 하며 해결방법을 우리의 지정 교서에서 찾지 않고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종사께서는 일원상의 진리를 믿고 일원상을 수행의 표본 삼아서 일원상 같이 인격을 길러나가면 남녀노소 모두 성불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일원상의 수행, 진리신앙과 함께
일원상 수행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일원상의 진리에 대한 신앙입니다. 원문에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는 동시에 수행의 표본을 삼아서…" 라는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일원상 수행은 신앙과 수행을 함께 해야 합니다.

철저한 수행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은 일원을 우주만유의 본원으로 믿으며 제불제성의 심인으로 믿으며 일체중생의 본성으로 믿는 그 믿음의 깊이가 깊고 일호의 의심없이 절대적입니다. 진리 그대로를 신앙해야 진리 그대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일원상을 수행의 표본으로 삼아
일원상의 수행은 일원상을 표본으로 합니다. 한 제자가 "일원상의 수행은 어떻게 하나이까"하고 여쭈니, 대종사께서는 "일원상을 수행의 표본으로 하고 그 진리를 체받아서 자기의 인격을 양성하나니…"라고 말씀하십니다.

법신불 일원상을 대각전에 봉안한 것은 신앙의 대상으로써, 수행의 표준으로써 진리의 형상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그리고 진리의 모습을 원상으로 보여 주시며 이렇게 당부하십니다. "저 원상은 참 일원을 알리기 위한 한 표본이라, 비하건대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킴에 손가락이 참 달은 아닌 것과 같나니라.

그런즉 공부하는 사람은 마땅히 저 표본의 일원상으로 인하여 참 일원을 발견하여야 할 것이며, 일원의 참된 성품을 지키고, 일원의 원만한 마음을 실행하여야 일원상의 진리와 우리의 생활이 완전히 합치되리라." 이 말씀처럼 일원상은 다만 진리의 표본일 뿐 참 일원은 아닙니다.

그러나 일원상을 표준으로 하여 심신을 길들여 가면 일원상의 위력과 체성에 합일하여 진리의 생활, 부처의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일원상의 수행은 일원상과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하게 하라
일원상과 같이 하라는 말씀은 일원상의 진리를 체 받아서 일원상의 진리 그대로 하라는 뜻입니다. 정전 일원상의 수행에서 일원상의 진리를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것으로 표현해 주셨습니다.
일원상의 진리 그대로 수행한다는 것은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표준을 세워 마음공부 하는 것입니다.

만일 우리의 자성에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이 갊아 있음을 알지 못한다면 일원상은 나 또는 현실과 관계없는 우상에 불과할 것입니다. 진리에 근거하지 못한 수행은 참 수행이 될 수 없으며 수행할 수 없는 원리나 이론은 공리공론에 불과합니다.

일원상의 수행은 일원상의 진리를 수행의 표본으로 하는 삼학수행
첫째,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아는 것입니다. 일상에서 일원상의 진리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내 마음을 발견하는 공부가 첫 번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원상이 마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며, 마음을 떠남이 없는 것임을 믿고 깨달아야 합니다.

일원상 법어에 밝혀주셨듯이 일원상의 수행은 모든 부처와 조사, 범부와 중생의 성품인 일원상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본래 마음을 발견하여 내 마음의 본래를 오득하는 공부입니다.

대종경 교의품에서 "일원상의 진리를 깨달아 천지 만물의 시종 본말과 인간의 생·로·병·사와 인과보응의 이치를 걸림 없이 알자는 것이며…"에서 이치에 걸림 없이 아는 공부와 일원상 서원문의 "이 법신불 일원상을 체받아서 사리를 원만하게 아는 공부를 하며…"의 사리를 아는 공부, 그리고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아는 공부, 이 모두는 일원의 원리를 깨닫는 견성(見性) 공부이며 사리연구 공부이며 자성의 혜를 세우는 공부입니다.

둘째, 일원상과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양성하는 것입니다. 양성이란 일원상을 통하여 본연심에 귀의하고 본래마음을 함양하며 수호한다는 의미입니다.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양성하자는 것은 "일원과 같이 마음 가운데에 아무 사심(私心)이 없고 애욕과 탐착에 기울고 굽히는 바가 없이 항상 두렷한 성품 자리를 양성하자는 것"이며 일원상의 진리와 같이 텅 비고 두렷한 성품을 기르자는 것이며 일원의 체성을 지키고 심신을 원만하게 수호하는 공부를 하자는 것입니다.
이 모두는 양성(養性)공부이며 정신수양 공부이며 자성의 정을 세우는 공부입니다.

셋째, 일원상과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공부는 "일원과 같이 모든 경계를 대하여 마음을 쓸 때 희·로·애·락과 원·근·친·소에 끌리지 아니하고 모든 일을 오직 바르고 공변되게 처리하자는 것"이며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천만 경계를 대할 때 경계에 끌려가지 않고 모든 일을 바르고 공변되게 처리해 가는 것이 곧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마음을 사용하는 공부입니다. 이것은 솔성(率性)공부이며 작업취사 공부이며 자성의 계를 세우는 공부입니다.

이상 세 가지 공부를 병진하여 일원상의 진리를 닮아가는 생활, 부처님과 같은 인격을 이루어가는 생활이 곧 일원상의 수행입니다.

일원상과 같이 원만구족하고 지공무사한 마음을 알고, 양성하고, 사용하는 일원상 수행으로 부처의 인격을 이루고 우주의 주인이 되어 정신개벽의 주인공이 되어야겠습니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