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은 빌려줘도 인장은 빌려주지 말라'
인장은 그 사람의 얼굴이며 신표

인장의 목적은 의사 결정에 의한 확인의 표시다. 인장은 임금이 사용한 보인과 관리들이 사용한 관인, 개인이 사용한 사인이 있다. 보인은 왕과 왕비, 왕세자 등의 인장이고, 관인은 중앙관과 지방관이 사용한 관리 인장의 총칭이다. 보인과 관인이란 집정에 쓰이던 인장으로 모두 정해진 인장제도와 계급· 신분· 지위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와 같이 인장은 국가를 다스리기 위한 하나의 신표였기 때문에 규격이나 재질·용도·신분 등에 따라 인문과 인끈의 색깔까지도 구분하여 사용했다.

인장은 본래 정치에 있어 신비하게 하는 신물로서 의미를 가진다. 우리나라의 인장 역사의 경우 환인이 아들 환웅에게 천하를 지도하고 인간세상을 다스리게 함에 있어서 천부인 세개를 주어 보냈다는 단군사에 나타나는 천부인삼방(天符印三方), 중국의 연대를 알수없는 삼과,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수메르인들이 사용했던 장방형 인장, 그리고 이집트 고대의 무덤에서 비롯된 청김석, 인도의 모헨조다로와 하랍빠유적지에서 출토된 아직도 해독되지 않은 여러 문자가 새겨진 도장들, 남미의 마야와 잉카 유적지 등에서 출토된 도장, 그리고 고대 미노스문명을 꽃피웠던 크레타섬에서 발굴된 도장 등이 존재했다.

이러한 인장제도가 처음으로 확립된 것은 진시황 때부터다. 진시황은 옥으로 새를 만들어 옥새라 칭하였다. 그 이전에는 상주(商周)시대로부터 줄곧 쓰여오던 신표의 공구를 나타내는 말인 녑녑을 사용했다. 그것이 곧 고대의 새였다. 녑의 형상은 위에 인을, 그리고 천을 아래에 두어 눌러 찍는 것을 의미한 것이다. 녑은 다시 녑과 그 뜻이 같은 새를 취하고 재질을 뜻하는 토(土)를 받침으로 삼아 새라고 하였다. 토(土)의 받침으로 토가 아닌 옥을 쓰기 시작한 것은 진시황이 신표의 재질을 옥으로 쓰면서부터 였다. 그 이후에는 계속 새를 황제의 신표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했다.

한국에서 인장을 사용하게 된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신라 때에는 국왕이 바뀔 때 국새를 손수 전한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있어 그 이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인부랑(印符郞)이라는 벼슬이 있어 나라의 인장을 맡아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는 개인들도 인장을 소지한 것으로 보이며, 그때 사용하던 청자로 만든 도제인장과 청동인장 등이 전해진다.

삼국시대의 인장

고구려에서도 국새를 사용한 기록이 있고, 관인으로 사용된 '진고구려솔선한백장(晉高句麗率善韓佰長)' 등과 함께 여러 점의 고구려 인장이 있다. 신라는 문무왕 때 "동으로 백사 및 주군인을 주조하였다"는 관인을 주조하여 사용한 기록이 있고, 여러 점의 인장이 남아 있다. 안압지에서 출토된 목인이나 석인, 함안 성산산성, 설봉산성 등에서 출토된 인장들은 당시 인장의 사용을 말해준다. 백제는 기와에 찍은 인문이 많이 남아있다.

고려시대의 인장

고려 때는 요· 금 등에서 고려 임금에게 금인(金印)을 보내왔고, 원에서는 '부마국왕선명정동행중서성(駙馬國王宣命征東行中書省)'을 보내왔으며, 1370년 명에서는 '고려국왕지인(高麗國王之印)'을 보내 왔으나, 고려의 실정에 맞게 다시 주조하여 사용하였다. 관인의 관리는 고려시대에는 인부랑에서, 조선은 상서원에서 관리하였다. 새보를 맡은 관원인 장새관이 새보·패·절월 등을 관리했다.

조선시대의 인장

조선시대에 이르러 인장제도는 더욱 정비되어 1392년(태조 1)부터 상서원을 두어 새보와 부패 등을 관장하게 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는 단종의 인장인 '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지보(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之寶)'와 단종 왕비의 인장인 '단량제경정순왕후지보(端良齊敬定順王后之寶)'를 비롯하여 여러 개의 옥새가 보관되어 있다. 한말에 사용하던 순금제 인새인 '제고지보(制誥之寶)'와 '대원수보(大元帥寶)', 은으로 만든 '칙명지보(勅命之寶)'도 전해진다.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관인에 대한 제도를 엄격히 하여 관직의 고하에 따라 크기가 달랐다. 또한 관원이 교대할 때에도 중앙과 지방에 따라 관인을 전달하는 방법을 달리했다. 즉 1품관은 한 변의 길이가 약 8.8 cm의 정사각, 2품관은 약 8.5 cm, 3품관은 7.6 cm, 4품관은 7cm, 5·6품관은 6.4 cm, 7품관 이하는 5.5 cm로 규정하고 이들의 아내의 인장도 그 치수를 규정했다.

관원이 교대될 때에는 관인을 반드시 손수 전달하도록 하여 당상관이 있는 관아에서는 당상관이 직접 교부하고, 3품 이하의 관아에서는 행수관이 인계했다. 지방관아에서 관찰사는 경상에서, 절도사·첨사 등은 진문에서, 수령·찰방 등은 아문에서 손수 인장을 주고 받았다. 옛날부터 이 인장의 인영을 모은 인보가 성행하여 중국은 물론 한국과 일본 등에 많은 인보가 전해진다.

얼마전 일어난 국새(國璽) 사기사건으로 인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장에는 국가의 존엄을 상징하는 국새와 공권력을 상징하는 관인, 개인을 상징하는 사인(私印)의 세 종류가 있지만 시대를 막론하고 이들을 포괄하는 상징적 의미는 '권위와 신뢰'라고 할 수 있다. 국새 사기사건은 우리가 '상징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국새의 권위가 땅에 떨어진 것이다. 인장에 대한 믿음 상실 현상은 현대사회의 인간에 대한 신뢰 추락과 맥을 같이 한다.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