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임병학 교수] 서품 15장에서는 "이제는 우리가 배울 바도 부처님의 도덕이요, 후진을 가르칠 바도 부처님의 도덕이니, 그대들은 먼저 이 불법의 대의를 연구해서 그 진리를 깨치는 데에 노력하라. (중략) 미래의 불법은 재래와 같은 제도의 불법이 아니라 사·농·공·상을 여의지 아니하고, 또는 재가출가를 막론하고 일반적으로 공부하는 불법이 될 것이며, 부처를 숭배하는 것도 한갓 국한된 불상에만 귀의하지 않고, 우주 만물 허공 법계를 다 부처로 알게 되므로 일과 공부가 따로 있지 아니하고, 세상일을 잘하면 그것이 곧 불법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요, 불법 공부를 잘하면 세상일을 잘하는 사람이 될 것이며, 또는 불공하는 법도 불공할 처소와 부처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불공하는 이의 일과 원을 따라 그 불공하는 처소와 부처가 있게 되나니"라고 했다.

우리가 배우고 가르칠 것인 부처님의 도덕과 미래의 불법에 대한 대체를 밝히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부처님의 도덕'을 〈주역〉으로 만나고자 한다. 

앞에서 '제1 서품' 14장의 천지신명(天地神明)은 천지지도(天地之道)와 신명지덕(神明之德)이 합해진 것으로, 천지신명의 내용이 도덕이라고 했다. 이를 부처님의 도덕에 대응하면, '천지신명'은 '부처님'과 대응되고, 도덕은 같은 것이다. 대종사가 처음 발심하여 기도할 때와 9인 선진과 기도할 때, 천지신명에게 기도를 올리고, 이후에 부처님으로 바뀌게 되는 과정과 일치한다. 또 도덕은 〈주역〉과 불교의 가르침을 하나로 융합하는 것이다. 

〈대종경〉에서 도덕을 보면, 변의품에서는 "전무후무한 도덕 회상을 마련할 것이니, 그대는 나를 믿을 때에 나의 도덕을 보고 믿을지언정 어디에 의지하는 마음으로 믿지는 말라"고 해, 대상적 존재가 아니라 성인의 가르침을 믿고 따라야 한다고 했다. 또 수행품에서는 "마음에 병이 생기면 도가에서 도덕으로 치료하게 되는지라"고 하는 등, 도덕은 마음병을 치유하는 약이라 했다. 

〈주역〉은 도와 덕으로 일관하고 있지만, 도덕은 한번 언급하고 있다. '설괘'에서는 '성인이 〈주역〉을 지은 목적이 사람들이 도덕에 따라 자신의 본성을 자각하고, 사명을 실천하는 데 있다'고 해, 도덕이 인간 본성을 내재화됐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의 본성을 자각하고 실천해야 하는 사명을 가진 것이라 했다.

또한 15장에서 말한 '불법(佛法)'에서 불은 부처님이고, 법(法)은 도덕과 짝이 된다. 법은 진리로 대종사는 '생멸 없는 진리'와 '인과 보응되는 진리'를 밝히고 있기 때문에 도덕은 생사를 넘어서는 원리이자, 인과보응의 진리를 깨우치고 실천하는 길이 된다고 하겠다. 즉, 도덕은 지금 여기에서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지혜이자, 악업과 윤회의 사슬을 끊는 길인 것이다. 

우리가 삶에서 은혜를 발견해 원망생활을 감사생활로 돌리는 것이 도덕의 실천이고, 영원한 진리의 세계를 사는 것이다.

/원광대학교·도안교당

[2018년 12월7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