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원 교구편제 개선안 제시
교구장 간 찬반 의견 엇갈려

교구장협의회의에서는 교정원 기획실이 연구해온 대교구 편제안이 발표됐다. 교구장들은 교구 현황을 반영하며 신중론과 긍정론 등 찬반 의견이 분분했다.

[원불교신문=정성헌 기자] 다음 협의사항으로 교화활성화를 위한 교구편제 개선안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발표에 나선 이건종 기획실장은 현 교구편제의 한계점에 대해 ▷인사배치 제청의 한계 ▷재정 자립의 한계 ▷교구 사업수익 구조 확보 어려움 ▷교구장 행정적 지휘권 한계를 꼽으며 "교구편제 개선 목표는 교화 활성화를 위한 조직구조 개편, 교화활성화 저해요인 제거, 30~40대와 청소년교화의 대안 모색, 전무출신 인력감소 및 정양자 증가에 대한 대안 마련, 행정 단순화·교화자 성취감 증진·복지 향상을 통해 교화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조성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해 소교구 편제 방향으로 소교구를 교구라 명명하고, (소)교구 내 교당수는 15~30개로 정하며, (소)교구 수는 20~25개로 묶을 것을 제시했다.

이 기획실장은 이해를 돕기 위한 대교구 편제 가안으로 현재 서울·강원·제주교구를 묶어 '가 대교구'로, 광주전남·전북교구를 '나 대교구'로, 부산울산·대구경북·경남교구를 '다 대교구'로, 경기·충북·대전충남·중앙교구를 '라 대교구'로 제안했다.

가 대교구의 (소)교구는 강원교구(강릉·춘천지구), 서울A교구(서울·화곡지구), 서울B교구(원남·종로지구), 서울C교구(강남·여의도지구), 제주교구(제주지구)를, 나 대교구의 (소)교구는 전북A교구(남원·임실·진안지구), 전북B교구(부안·정읍지구), 전북C교구(서전주·전주지구), 전북E교구(고창·영광지구), 광주A교구(광주동부·광주서부지구), 광주B교구(목포·순천지구)를, 다 대교구의 (소)교구는 대구경북A교구(대구지구), 대구경북B·부산울산C교구(안동·포항·울산지구), 부산울산A교구(동래·부산지구), 부산울산B교구(대연·서면지구), 경남A교구(김해·마산·창원지구), 경남B교구(거창·진주·통영지구)를, 라 대교구의 (소)교구는 경기인천A교구(분당·수원지구), 경기인천B교구(안양·인천지구), 대전충남A교구(대전·강경지구), 대전충남B·충북교구(천안·청주지구), 중앙A교구(남중·이리지구), 중앙B·전북D교구(군산·김제지구)를 표로 밝혔다.

대교구제 편제안을 경청한 대부분의 교구장들은 교구편제와 교화활성화가 과연 상관관계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교단 전체의 인적·물적 자원이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리스크를 안고 함부로 편제 개편을 하기가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더불어 현재 교구마다 지구 중심의 현장 교화를 살리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는 상황에서 이를 무너뜨리고 다시 재편성한다는 것도 쉽지 않는 일임을 피력했다. 또 편제 가안이지만 대교구제를 진행하기 위해 숫자를 맞추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과 교화활성화를 위해서는 교화 주체자들이 변해야 하는데 너무 시스템에만 편중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교화 정체의 원인을 교구 편제에서 찾을게 아니라 교단이 정보화시대 이후 구체적이고 발빠른 대응이 부족한 면에서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반면 대교구제 편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해보자는 의견도 제시됐다. 각 지역마다 특성과 현안이 다름에도 중앙에서 일방적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친다는 것은 맞지 않을 뿐 아니라 각 교구마다 교화활성화를 위한 방향과 상황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교구 자치가 등장한 의미를 생각해보자는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13개 교구 체제에서 교화 성장을 위해 수십년 노력해 왔음에도 뚜렷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는 상황에서 현안들을 타개하기 위해 교구 편제를 긍정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2019년 9월2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