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일 교무
김경일 교무

[원불교신문=김경일 교무] 삼학은 일원상진리인 우리의 본성을 본받아서 일상에서 활용하는 세 가지 공부법으로서 원불교 수행의 핵심이다. 일원상 진리가 진공 묘유 조화의 한 덩어리인 것처럼 정신수양, 사리연구, 작업취사 공부는 근본적으로 하나의 뿌리다. 다만 셋으로 나누어 공부의 편리를 도모한 것뿐이다. 

대종사께서는 삼학의 병진을 쇠스랑의 세 발로 비유하셨거니와 정산종사도 가마솥의 세 발로 비유하신 바 있다. 그러므로 수행에 발심한 사람들은 삼학 병진공부가 필수적인 것을 얼른 알아차려야 한다. 사람의 근기가 다르고 취향이 다르기 때문에 수행에 있어서도 수양에 능한 사람도 있고 연구에 능한 사람도 있고 취사에 능한 사람도 있을 수는 있다. 하지만 자기가 좋아하거나 능한 것만을 가지고 원만한 수행이나 인격을 갖추는 것은 어렵다. 

대종사의 교법은 동정(動靜), 영육(靈肉), 이사(理事)간 병진 쌍전과 함께 삼학수행과 사은신앙의 병진 쌍전은 교법의 이해와 실천에 있어서 물러설 수 없는 선이다. 그러므로 대종사께서 삼학을 편수하는 제자들에 대해서 특별히 경계하신 일화는 경전 곳곳에 전해지고 있다. 삼학을 병진하는 공부에 대해서는 대산종사의 교리실천도해에 밝혀주신 말씀을 근간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자성의 원리를 확연하게 알아야 정정(定靜)의 큰 수양력을 기를 수 있다. 성리를 모르고 참 수양력을 얻기가 어렵다. 그래서 성리는 꾸어서라도 보라고 했을 것이다. 큰 수양의 힘을 얻어야 자유 자재하는 해탈행이 나온다. 경계를 당해서 마음을 멈추는 공부를 많이 할수록 영단(靈丹)이 커가서 생사를 자유할 수 있는 큰 정력이 생긴다. 평소에 실행공부를 잘해야 수양하는데 장애가 없을 것이다. 일심공부가 잘 되어야 대각의 깨달음을 빨리 이룰 수 있다. 깨달음을 얻기로 하면 반드시 오랜동안 의두 연마하는 공부의 공들임이 있어야 큰 지혜가 솟아날 것이다. 또한 큰 실천의 공을 쌓아야 깨달음에 쉬 이를 수 있을 것이다.

큰 수양의 힘을 얻어야 용맹있는 취사력이 생길 것이다. 옳은 일은 취하고 그른 일은 버리는 공부를 많이 해야 마음을 마음대로 하는 여의보주(如意寶珠)를 빨리 얻을 것이다. 대각을 해야 천지같은 무념의 상없는 행과 원만구족한 실행이 따를 것이다. 대종사께서도 가끔 제자들에게 삼학 가운데 자신의 승한 점과 부족한 점을 물으셨다고 한다. 우리도 삼학을 수행하는 가운데 스스로 모자라는 점이 없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또 동지나 지도인에게도 의견을 청해 삼학을 병진하는가를 살펴야 큰 공부인이 될 수 있다. 

대개 편수하는 사람들을 보면 남보다 출중하게 잘해보겠다는 승기심이나 욕속심이 승한 경우를 보게 된다. 또는 삼학을 원만하게 병진하는 지도인을 만나지 못하면 무심코 일방 수행을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삼학을 편수하면 대도를 성취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기형의 도인이 되기 쉽다. 흔히 나한(羅漢)이라고 불리는 일방 수행자들이 그렇다. 편벽된 수행을 고집하게 되면 교단 분열의 원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 분파의 의도가 없다 하더라도 본의 아니게 유유상종하는 것은 피하기 어렵다. 

우리 회상은 사은의 원만한 신앙과 삼학수행의 병진만이 아니라 도학과 과학의 병진, 영육과 동정과 이사의 병진, 교(敎)와 선(禪)의 일치, 그리고 동서양은 물론 유불선 통합을 기치로 열어주신 대도회상 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원불교대학원대학교

[2021년 8월 30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