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신문=오광익 원로교무]

① 具:갖추다. 갖추어지다. 구비하다. 온전하다. 모두. 
具자는 ‘갖추다’나 ‘구비하다’, ‘온전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具자는 鼎(솥 정)자와 廾(받들 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금문에 나온 具자를 보면 양손에 솥을 받쳐 든 모습인데 솥은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던 물건이다.

② 足:발. 뿌리, 근본. 넉넉하다, 충족하다. 만족하다, (분수를)지키다.  
足자는 ‘발’이나 ‘뿌리’, ‘만족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足자는 止(발 지)자와 口(입 구)자가 결합하였다. 그러나 足자에 쓰인 口자는 성(城)을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 止자가 더해진 足자는 성을 향해 걸어가는 모습이다. 

구족(具足)하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첫째, 일원의 진리의 극치를 말한다. 우주만물은 유는 무로 무는 유로 끊임없이 돌고 도는데, 돌고 도는 것이 지극한 경지에 도달하면 구공(俱空)이 되고, 구공은 곧 구족이 된다. 이 세상 모든 것, 우주의 삼라만상은 모두 다 유와 무로 돌고 돌며 변화한다. 있던 것은 없어지고, 없던것은 있어지고, 이렇게 끝간데 없이 돌고 돌다보면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며,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는 경지, 거기가 곧 우주의 본체이요 진리의 궁극처이며 인간의 본래성품이다.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닌 우주의 본체, 진리의 궁극처, 인간의 본래성품은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어 모두가 텅 비었으나 텅 빈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모두를 갖추어 없는 것이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수행정진의 결과로 복과 혜를 다 갖춤을 이름이니 곧 “복혜구족·복혜쌍족(福慧具足·福慧雙足)”을 말한다.

셋째, 무엇 하나 빠짐없이 다 갖추어 있음이요, 무엇이나 빠짐없이 다 갖출 수 있는 상태이다.

넷째, 어떤 사물이나 형태 등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음이니 곧 구존(俱存)하다는 뜻이다.

다섯째, 모든 것이 구비되어 만족하다는 뜻이다.

여섯째, 구비(具備)되었다는 의미이니 ① <백유경·인인위형유(百喩經·認人爲兄喩>에 “옛날 한 사람이 있었는데 형용이 단정하고 지혜가 구족하며 거듭 돈과 재물이 많았느니라(昔有一人 形容端正 智慧具足 復多錢財).” ② 원(元) 덕이(德異) <육조단경> 서문에 “하나하나의 법문에 무량한 묘의가 구족하니라(一一法門 具足無量妙義).” ③ <금강경>에 “여래는 오안이 구족하니라(如來具足五眼).”

송(頌)하기를
유무순환전(有無循環轉)  유와 무는 순환하여 구르고   
구족복겸지(具足福兼知)  복과 아울러 지혜가 구족하네 
원리원종지(圓理元宗旨)  일원진리는 의뜸의 종지이니
성심주대사(醒心做大師)  마음으로 깨치면 큰 스승 되리.

/중앙남자원로수양원

[2019년 11월8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