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관명 교무

[원불교신문=윤관명 교무] 2010년 서울, 아시아 최초로 G20 정상회의가 열렸다. 회의를 마무리하는 폐막 연설 직후 버락 오바마는 이렇게 말했다. “한국 기자들에게 질문권을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 한국이 훌륭한 개최국 역할을 해 주셨으니까요. 누구 없나요?” 오바마 대통령은 한국 기자들에게 최상의 예우를 보였다. 그러나 기자회견장에는 정적이 흘렀다.

오바마 대통령은 다시 한번 물었다. “한국기자가 질문하려면 통역이 필요하겠군요.” 그래도 질문이 없자, 중국 기자가 손을 들고 “제가 아시아를 대표해서 질문을 해도 될까요?” 물었지만 오바마는 단호하게 거부하고 다시 “저는 한국 기자에게 질문을 요청했어요”라고 했다. 다시 “아무도 없나요?”라고 두 차례 물었지만 회의장은 조용했다. 그리고 질문권은 중국 기자에게 돌아갔다. 그 날 폐막 회견장에 영어를 못하는 한국기자는 한 명도 없었지만 모두가 침묵했다. 

이 장면은 그대로 세상에 공개 되었고 대중들의 비난이 쏟아졌다. 한국 기자들이 침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세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본다. 첫째, 미리 질문을 준비하지 못해서 할 수 없었던 것이다. 둘째, 질문이 있었지만 다른 사람들로 부터 평가받는것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셋째, 자신에게 질문하지 않았다. 자신이 그 자리에 있어야 하는 이유를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권한과 책임을 행사하지 못한 것이다. 

흔히 학교 수업은 “질문 있는 사람?”이라는 선생님의 말씀과 잠깐의 침묵으로 끝난다. 혹시라도 질문을 하게 되면 주변의 눈총을 받기 십상이다. 왜냐면 일찍 끝내고 싶은데 왜 시간을 끄는냐는 이유에서다. 그리고 질문을 하면 ‘내가 모른다’는 것을 자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하느라,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만다. 

세상의 모든 위대한 발명과 발견은 ‘질문’에서 시작된다. 만일 뉴턴이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일상적인 현상을 보고 ‘왜?’라는 질문을 갖지 않았다면 만유인력의 법칙은 세상에 알려지지 못했을 것이다. 이렇게 질문은 세상을 바꾸는 힘을 가지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진리를 깨닫기 위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다. 산파술이라 불리는 이 질문법은 끝없이 날카로운 질문을 던져 상대에게 산모가 아기는 낳는 것 같은 고통을 주지만 결국에 답을 찾게 한다. 그리고 이 방법의 핵심은 답을 주지 않고 스스로 깨닫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질문에도 격이 있다. 누군가 나에게 “당신이 오바마 기자회견에 있었다면 질문할 수 있겠는가?”라고 묻는다면 선뜻 대답하기 어렵다. 그러나 “당신이 그 자리에 가야 한다면 무엇을 준비할 것입니까?”라고 묻는다면 나는 한국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생각해서 최선의 질문을 만들겠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질문과 대답 속에 살아간다. 2020년 새해를 맞아 자신과 세상에 의미있는 화두 하나 품어보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

/동창원교당

[2020년 1월3일자]

저작권자 © 원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